추운 새벽 2시 반쯤, 친구에게 메일을 쓰다가 문득 기억의 시작과 끝에 대한 생각을 했다. 주고받는 대화가 오랜만에 마음을 두근거리게 했던, 그러나 지금은 연락을 하지 않는 이와의 첫 만남, 20군데 넘게 지원을 했으나 면접에서 계속 떨어져 온갖 스트레스에 허덕이다 취직한 회사에 처음 출근한 날의 긴장감, 매일 가는 슈퍼마켓에서 진열된 걸 구경만 했을 뿐 머릿속으로 맛을 상상만 하다 처음으로 구입해서 먹어본 감자과자를 입에 넣었을 때의 맛, 아마 이걸 기억하는 사람이 지구상에 존재할까 싶은, 내가 태어났을 때의 기억. 기억에 대해서 끊임없이 생각을 하게 된 밤이 있었다. 어떤 것은 정말 선명해서 그날의 날씨와 내 앞에 서있는 사람의 얼굴과 복장까지도 기억이 나다가도 그 외의 다른 기억, 취업 활동을 시작..
내가 아기일 때부터 초등학생 시절 무렵까지 서울에 사는 친척 언니의 옷을 물려받을 때가 종종 있었는데 난 그걸 참 좋아했다. 남쪽지방에 살던 우리에게는 ‘서울’이라는 단어 자체가 세련됨과 고급스러움을 뜻했기에, 아무것도 모르던 어린 나도 서울 사는 사촌 언니가 멋있어 보였다. 사실 서울은 아니고 인천에 살았지만. 엄마는 그게 너무 싫었다고 한다. 서울에서 조카들 입으라고 보냈다며 비싼 옷이라고 생색내던 할머니가 미웠을 것이다. 또 보내온 옷들 중에는 형편없이 낡아서 입기 민망한 것들도 섞여 있었다고 한다. 엄마의 주관적인 기억이 덧씌워져서 과장됐을지도 모르지만 그것은 분명 엄마에게 즐거운 일은 아니었을 것 같다. 눈치 없이 나는 그 낡은 옷 한 보따리를 산타할아버지의 선물 보따리처럼 좋아했던 기억만 난다..
답은 ‘각자’, 그리고 ‘같이’라고 생각한다. 꼭 정해진 답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는 그렇게 살고 있다. 라는 연재 메일링을 진행한 적이 있다. 메일링을 진행하기 전에, 동거에 관해서 당신이 궁금한 점은? 혹은 질문하고 싶은 점은? 하고 질문을 했다. 이때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은 ‘주거 공간 마련의 비용’, ‘생활비의 분담’에 관련된 질문이었다. 내가 꼽아둔 예상 질문을 빗나가는 질문이라서 좀 당황했다. 내가 생각한 질문은 ‘애인과 같이 살면 좋은가요?’ 혹은 ‘애인과 헤어지면 어떻게 하실 생각인가요?’와 같은 질문이었다. 실제로 친구들이 많이 물어본 질문이라서, 그 정도로만 생각했는데…. 경제적인 질문이 많은 이유는 아마 아무도 그것을 알려주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솔직히 말하자면 나는 애인인 알..
사건의 시작 사체가 발견된 것은 지난밤이었다. 마지막 퇴근자는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었다. 문득 로비에 누군가 쓰러져 있는 것을 발견한다. 사체는 놀라울 만치 깨끗했지만, 스산한 기운이 감돌았다. 곧 경찰이 도착했다. 왜, 누가 사체를 그곳에 두었는지, 어떻게 그가 죽었는지에 대해 대중의 관심의 집중됐다. 사체는 신원불명이었고, 기이한 것은 겉으로 보기엔 멀쩡한 이 사체의 부검 결과였다. 내상으로만 판단했을 때, 이 사체는 심각하게 훼손되어 있어야 했다. 사지는 아무렇게나 절단되어 있었고, 여러 차례 찔린 듯한 자상으로 인해 장기가 심각하게 훼손되어 있었다. 얼굴은 기묘하게 어그러져 있었는데, 매치되는 얼굴이 하나도 없었다. 외상은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목격자의 증언에 따르면 전날 회의에서 여러 차례 ..
어려서부터 언니가 있는 친구들이 참 부러웠습니다. 나보다 3년 일찍 태어난 엄마의 아들 때문에 인생 첫날부터 줄곧 입은 옷이 당연하게도 바지 일색인 것이 지겨워 ‘이왕 옷을 물려 입어야 한다면 치마를 입고 싶다’는 단순한 욕구도 한몫 했고요. 언제든 내 편인 동성의 동년배 인생선배가 있다면, 친구와 이야기할 때 어느 정도 요구되는 자기검열을 내려놓고도 시시콜콜한 이야기를 주고받을 수 있을 테니 하루하루가 얼마나 즐거울까 싶어 엄마에게 언니를 만들어달라며 조르기도 했습니다. 물론 언니가 있는 친구들은 나름대로의 고충을 토로하며 ‘상냥하고 다정한’ 오빠에 대한 판타지를 풀어놓았고, 그렇다면 우리 서로 집에 있는 생명체를 교환하는 게 어떻겠냐며 실없는 거래를 제안하기도 하고요. 그렇게 잠깐일 줄 알았던 언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