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라 이불 김선주 이불이 파도처럼 소라를 덮쳤다 엎드린 소라 소라가 아이를 먹이고 재우는 동안 하루가 다 갔다 이불 밖으로 튀어나온 소라의 하얀 발가락 망가뜨리고 싶었다 대신 아이의 발가락을 입에 넣고 우물거렸다 소라의 이름은 엄마가 지어주었다 이름을 짓는 것, 엄마의 권한, 엄마들은 턱을 더 높이 들고 아이들의 원망을 들을 필요가 있었다 고개를 숙이면 아이들은 쉽게 죽었다 소라는 이미 이름 붙여진 날들을 너무 많이 통과해 온 기분이었다 그 이름을 찢고 자르고 박음질하여 전혀 다른 이름으로 탄생시켰다 이불이 이불을 낳고 소라와 닮은 소라를 기르고 이불과 소라를 덮고 자는 작은 이마, 아직 채 구겨지지 않은 점토 흔한 상처 하나 나지 않고 커지는 풍선처럼 아이는 조금씩 자랐고 다시 줄어들었다 소라는 또다시..
사건의 시작 사체가 발견된 것은 지난밤이었다. 마지막 퇴근자는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었다. 문득 로비에 누군가 쓰러져 있는 것을 발견한다. 사체는 놀라울 만치 깨끗했지만, 스산한 기운이 감돌았다. 곧 경찰이 도착했다. 왜, 누가 사체를 그곳에 두었는지, 어떻게 그가 죽었는지에 대해 대중의 관심의 집중됐다. 사체는 신원불명이었고, 기이한 것은 겉으로 보기엔 멀쩡한 이 사체의 부검 결과였다. 내상으로만 판단했을 때, 이 사체는 심각하게 훼손되어 있어야 했다. 사지는 아무렇게나 절단되어 있었고, 여러 차례 찔린 듯한 자상으로 인해 장기가 심각하게 훼손되어 있었다. 얼굴은 기묘하게 어그러져 있었는데, 매치되는 얼굴이 하나도 없었다. 외상은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목격자의 증언에 따르면 전날 회의에서 여러 차례 ..
*이 에세이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불안-일기 쓰기 일기를 쓰기 시작한 건 자기계발이나 대단한 계획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SNS를 통해 자유롭게 발언하는 것이 심리적으로 어려워졌기 때문이었다. 나의 말이 누군가에게 어떻게 해석될지, 말하지 않은 부분이 계속해서 탈락하고, 나아가 그것이 누군가에게 상처가 될까 두려운 마음이 점점 더 커지면서 결국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 그러다 우연히 를 틀어놓고 일기를 쓰기 시작한 것이 어느새 습관이 되었다. 소설 『토지』의 작가 박경리 또한 아무도 없는 집에서 TV를 켜놓곤 했다고 한다. 공백을 채우려는 이 습관이 어떤 정신작용에 의한 것이라면, 왜 인가? 주위 사람들은 이런 나의 습관을 기이하게 여기거나 걱정스러워하거나 재미있어한다. 그들의 반응처럼 다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