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정체성 수난기(3)

    1, 2편을 다시 읽어보니 ‘젠더’라는 단어가 처음으로 등장하는 부분이 눈에 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앞서는 성별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다가 젠더라는 말을 사용한 것이다. 도입을 쓸 때까지만 해도 좋아하는 혹은 사랑하는 감정이 생겨서 관계를 만들어가는 문제는 너무도 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사적인 관계의 두 사람은 숟가락/젓가락처럼 동등한 위치에 있으니 ‘성별’이라는 단어가 어울리는 것이 아닐까. 그러다가 갑자기 ‘남성, 여성의 구분은 젠더 문제잖아!’라는 생각이 퍼뜩 들었다. 성별 대신 젠더를 의식적으로 쓰기 시작하자 알 수 없는 불편함과 꺼림칙함이 끼어들었다. 이 꺼림칙함은 도대체 무엇인가. 여성/남성을 성별로 표현할 때와 젠더로 표현할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 몇몇 문장을 통해 생각해 봤다. 

    “나는 상대방의 성별에 상관없이 연애를 한다.”
    “나는 상대방의 젠더에 상관없이 연애를 한다.”

    젠더라는 단어를 들으면 여성/남성 사이에 존재하는 권력 차이가 떠올랐다. 남성 젠더가 여성 젠더보다 더 높은 임금을 받을 가능성이 크고 결혼 생활에서 가부장의 위치를 차지하는 것 등 말이다. 그런데 연애와 젠더가 무슨 상관일까? 연애는 남성과 여성이 하는 것으로 (대다수가) 알고 있는데 관련이 있는 게 당연하지 않을까. 여성이 남성을 만나지 못하면 경제적으로 가난해질 수 있고, 남성이 남성을 만나면 남성 연대에서 쫓겨날 위험이 크며, 오직 남성과 여성 젠더만이 결혼할 수 있는 것 등 말이다. 여성과 남성의 권력 차이가 두 젠더 사이의 연애관계를 지배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남성 젠더를 사랑하는 것과 여성 젠더를 사랑하는 것은 결코 동일선상에 있는 문제가 아니었다. 사랑과 연애를 ‘그 사람 자체’만 보고 한다고들 하지만(그게 순수한 사랑인 양 포장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으니 말이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이 같은 젠더에게 로맨틱한 끌림을 느낌에도 애써 부정하고, 없는 것으로 치부하고 괴로워하는 것이리라. 성별이라는 단어를 썼을 때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이 젠더를 사용하자 드러났다. 연애는 사적이고 평등한 관계가 아니며 이성애를 벗어난 이들은 사회에서 불이익을 받는다는 사실 말이다. 다른 문장도 써보았다.

    “한국 사회에서 사랑하는 이의 성별이 무엇인지 물어보는 일은 드물다.”
    “한국 사회에서 사랑하는 이의 젠더가 무엇인지 물어보는 일은 드물다.”

    사랑하는 이의 성별이 무엇인지 물어보는 일은 성적 지향의 다양성을 폭넓게 인정하는 느낌이었다. 어떤 성별을 사랑하든 무엇이 문제인가 라는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반면 젠더가 무엇인지 물어보는 것은 마치 사랑하는 이가 귀족인지 평민인지 노예인지 계급을 물어보는 것 같았다. 계급이라는 느낌은 앞서 말한 것처럼 여성/남성의 사회적 지위, 합법적으로 가족을 구성할 수 있는 권리 등을 차별적으로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오는 것이었다. 이성애자나 동성애자나 같은 시민이지만 동성애자는 가질 수 없는 권리가 있었다. 누군가를 사랑해서 관계를 맺고 결혼, 육아를 하기 위해서는 여성, 남성으로 짝을 이루는 ‘올바른’ 젠더를 만나야 했다. 지극히 사랑했던 동성의 연인이 결혼적령기가 되자 자신과 헤어지고 이성을 만나 결혼을 했다는 이야기는 퀴어들 사이에서 흔하니 말이다. 누구를 사랑할 것인가 선택의 문제에서 젠더는 매우 커다란 압력이고 고려사항이었다.

    사랑에 있어서 젠더가 끼치는 영향력을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사건이 비일비재하지만 최근에도 하나 있었다. 아버지 회갑이셔서 친척들을 초대해 식사를 하려고 장소, 날짜 등을 의논하는 중이었다. 대화 도중 어머니가 장난스러운 말투로 ‘딸들이 사위를 데려와서 친척들한테 인사시키고 아버지도 업어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농담을 하셨다. 아버지도 눈을 치켜뜨며 남자 언제 데려올 거냐고 한 술 더 뜨셨다. 속이 부글부글했다. 내 애인은 ‘남성 젠더’가 아니기 때문에 소개할 수 없었다. 내 애인이 여성인 것이 문제인가? 내가 남성을 만나지 않아서 문제인가? 아니,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 그런 문화(?), 풍습(?), 법(?)이 문제지. 며느리가 시어머니 업어주는 풍습은 없으면서 왜 사위가 장인을 업어주는 건 있단 말인가. 내가 볼 때 사위가 장인을 업는 것은 집안에 새로 들어온 ‘힘이 센 가부장’이 ‘기존의 가부장’의 공을 치하하고 감사를 전하는 것이었다. 가정 안에서 여성은 가부장의 재산일 뿐이니 며느리, 딸, 시어머니, 친정엄마가 서로를 업어주는 일은 없는 것이다. 게다가 여성은 힘이 약하니까 누구를 업을 수 없다는 편견까지 더해서 말이다. 내 애인은 자신보다 키 큰 나도 업어주는데, 도대체 업는 게 뭐가 대수라고! 애인이 나의 아버지를 업어주는 괴상한 상상이 됐다. 남성이었으면 아무렇지 않은 장면이지만 여성일 때는 이상한 상황이 되는 것. 이것이 젠더의 벽이겠구나 싶었다.

    
(다음 편에 계속됩니다)

'어쩌다 퀴어: 무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축하를 빙자한 고발  (0) 2019.10.04
#13 정체성 수난기(4)  (2) 2019.09.20
#11 정체성 수난기(2)  (2) 2019.08.23
#10 정체성 수난기(1)  (0) 2019.08.09
#9 아빠친구딸의 결혼식(3)  (0) 2019.07.26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