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신체(들)에 대해 ‘말하는 것’이 과연 여자들에게 좋은 것일까? 내가 농구 하는 것, 스포츠 시장에서 여성의 위치에 대해 생각하는 것, 공공장소를 점유하기 위해 부딪치고 맞서 싸우는 것, 학창 시절 운동장의 기억을 현재의 시간으로 불러오는 것 등 나의 고유한 경험을 말하는 것이 페미니즘 운동을 추동하는 동시대의 여자들에게 어떤 힘을 줄 수 있을까? 에세이는 응당 보편성을 획득하거나 진정성을 품거나 또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을 셀링 포인트로 삼아야 하는데, 이 연재는 세 가지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는 관심이 없어 보인다. 그렇다면 이 글은 누가 읽는 것일까? 주변을 둘러보면 농구 하는 친구들은 정작 내가 쓰는 글에 별 관심이 없고, 오히려 스포츠라면 하는 것보다 보는 것에 가치를 두는 대학원생들이 읽..
삵은 여행을 떠났다 하루에 3만 보씩 걷던 때가 있었다. 재작년 가을 무렵 스페인에서였다. 아무런 계획도 없이 무작정 떠난 스페인에서, 되지도 않는 영어를 하며 그렇게 혼자 온종일 걸어 다닌 것이다. 혼자 여행을 자주 가던 건 아니었다. 스페인 이전에 혼자 떠나본 여행이라고는 당일치기로 두물머리를 다녀온 것뿐이었다. 무슨 생각으로 떠난 건지 잘 모르겠다. 처음에는 유럽 비슷한 곳을 가고 싶어서 마카오를 가려다가, 그냥 진짜 유럽을 가버렸다. 겁도 없이, 아무런 준비도 없이. 혼자 처음 떠나는 해외여행을 그렇게 정신없이 다녀왔다. 제일 기억에 남는 건 유명한 건축물도, 맛있는 음식도 아니다. 노상 카페에 앉아 음악을 들으며 커피를 마시고 담배를 피우던 기억이다. 이국적인 풍경과 내 귀에서 흘러나오는 내가 ..
아마추어 농구선수로서 코트 위의 나는 메인 캐릭터라기보다 부캐에 가깝다. 김신영의 ‘둘째 이모 김다비’나 박나래의 ‘조지나’같이 인종, 계급, 세대 등 특정 조건들이 바뀌는 것은 아니지만, 본캐와 부캐에 따라 주로 사용하는 얼굴 근육, 목소리 톤, 단어 선택, 그리고 걸음걸이 등 크고 작은 습관들의 차이가 발생한다. 캐릭터를 넘나드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나는 약간의 강박으로 사람들을 웃기는 걸 좋아하고, 상대방이 호감을 가질 것이라는 믿음, 일종의 데이터가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관계 맺기에 주저하지 않고 참여하려 든다. 어떤 공간에 놓였는가, 누구와 어울리는가, 무엇을 하는가에 따라 치고 빠지는, 또는 새롭게 획득하는 습관들은 공동체 안에서 반복되면서 쌓여간다. 예컨대 철학자의 저서를 발..
암삵의 삶을 연재한 지 1년 3개월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나’라는 개인에서 시작된 이야기는 어느덧 마무리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장과 장을 연결하는 ‘개인주의자적 삶’ 시리즈에서 나는 ‘나’라는 개인의 면면들을 연결하고 통합하고 싶었다. 그게 잘 되어 왔는지는 모르겠다. 마지막 ‘개인주의자적 삶’을 쓰기에 앞서 지금까지 써 왔던 ‘개인주의자적 삶’을 한번 쭉 훑어보았다. 다른 건 몰라도 각각의 이야기마다 그래도, 적어도 개인주의에 대한 내 생각이 담겨 있긴 한 듯 같다. 그 사실이 참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모두가 다르다는 사실’, ‘언어 뒤에 감춰진 불확실성’, ‘폭력의 정체’, ‘주관적인 사랑과 삶’, ‘생각과 표현’. 지금까지 개인주의자적 삶을 통해 다뤄온 이야기들이다. 다르다는 사실을 통해서..
“영리한” 증언자와 “영리하게” 연대하기 책을 읽는 동안 나를 압도한 감정은 부끄러움이었다. “윤지오 씨 말은 100% 진실일까요?”라는 김수민의 포스팅이 있었던 2019년 4월 16일 이후,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랬던 것처럼 나 역시, 윤지오의 증언, 즉 그의 ‘메시지’를 끝까지 따라가는 일을 포기한 채 윤지오라는 ‘메신저’ 쪽으로 시선을 틀어버렸다. 윤지오라는 사람의 인격은 어떠한가, 하는 물음에 지배당한 것이다. 그렇다고 윤지오 증언이 갖는 의미 모두를 부정하는 방향을 택하지는 않았다. 그가 설령 순수하지 않은 메신저일 순 있다고 하더라도 그 메시지의 무게와 중차대함까지 부정될 수는 없다는 걸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나는 피로를 느꼈다. 윤지오를 응원하던 사람들이 그와 맞잡았던 손을 놓고..
* 계집애 던지기(throwing a girl)는 Iris Marion Young의 「Throwing like a girl」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90)에서 ‘like’ 빼고 베껴왔다. 공을 던지는 최초의 기억을 떠올린다. 제 몸만 한 탱탱볼을 아무렇게나 내던지고 어른들의 박수를 받는 유아 때의 사건 말고, 그러니까 내가 소녀였을 때 유효타를 날렸던 최초의 공놀이를 떠올려본다. 점심시간 이후의 수업은 언제나 졸렸지만 체육 시간에는 오히려 에너지 넘쳤다. 체육부장이었던 내가 준비 운동 동작과 함께 하나 둘 셋 넷 선창하면 반 애들이 둘둘 셋 넷하고 반복하는 것으로 수업이 시작되었다. 손목, 발목부터 허리와 골반을 골고루 비틀고 나면 관절이 열리고 무엇이..
아리아가 원한 건 약간의 이해와 순수하고 달콤한 사랑, 그리고 약간의 겸손이었다. 사춘기 소녀의 허세와 외로움으로 가득한 힙스터 영화 제멋대로인 유명인 부모의 크고 작은 학대와 무관심 속에서 사랑을 갈구하는 아홉 살 소녀 아리아. 는 프랑스인 엄마와 미국인 아빠, 이탈리아인 자녀들이라는 설정부터 복잡한 영화다. 감독의 뒤죽박죽한 취향과 혼란스러운 연출 때문에 영화를 차분히 감상하기가 쉽지 않지만, 묘한 조화로움이 아름다운 영상을 만들어낸다. 그런 와중에 아리아 역할을 맡은 배우의 담담한 연기는 아리아의 외로움을 부각시킨다. 영화의 원제는 Misunderstood, 즉 ‘제대로 이해 받지 못하는, 오해를 받는’이라는 뜻이다. 영화는 아리아와 가족이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고, 이해하려고 하지도 않는 상황을 보..
삵은 자신을 위한 생각을 하고 싶었다. 나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해 아는 것은 어렵지만 나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해 느끼는 건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다. 나의 몸과 감정을 느끼고 그것을 하나로 통합하여 ‘나’라는 존재를 느끼는 것. 감정과 몸은 ‘나’로부터 비롯되는 것이기에 ‘나’를 느끼는 것은 나의 감정과 몸을 느낌으로써 가능해진다. 그러나 내가 ‘나’라는 당연한 그 느낌이 누군가에겐 당연하지 않다. 내게는 조울증 말고 또 다른 병명이 있다. ‘경계성 인격장애’가 그것이다. 경계성 인격장애는 만성적인 공허감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흐릿한 자아감과 연관되어 있다.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느낌이 덜하다 보니, 그 자리를 공허가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내가 내 감정을 잘 느끼지 못한다는 건 스물세 살..
스포츠의 타임라인은 갖가지 예측을 뛰어넘는 플레이의 출현이 쌓아 올려진 레이어라는 생각이 든다. 스포츠가 만들어내는 특유의 정동은 충분히 예측 가능하면서도 동시에 불확실한 것들 사이에서 촉발되기 때문이다. 당연하게도 나는 결과가 뻔한 경기보다 도저히 예측이 불가능한 경기의 결과를 좋아하고, 또 그보다는 강팀이 방심한 틈을 약팀이 놓치지 않고 파고들어 보란 듯이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스포츠의 순간들에 열광한다. 2019 NBA 파이널에서의 배팅률은 골든스테이트가 약 1.5, 휴스턴 로키츠가 약 3.5로 나왔지만 결과는 휴스턴의 승리였다. 예측 가능하지만 결코 불확실한 스포츠가 가진 자질은 사람들을 끌어들이며, 특히 국가를 대표하는 스포츠의 경우 경기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올해의 우승부터 프로 선수의 연봉..
삵은 마음으로 생각을 비춰보았다. 길에는 이정표가 필요하다. 그리고 가로등도, 그 길을 걷는 나 자신도 필요하다. 경험이라는 이정표가 비춰주는 생각이라는 길은 때론 캄캄한 어둠이 내려 한 치 앞도 보이지 않기 일쑤다. 이를테면 도저히 앞날이나 지금을 생각할 수 없을 만큼 압도적인 경험을 겪었을 때, 혹은 생각의 여력이 없을 만큼 다양한 경험을 쏟아지듯 겪게 됐을 때. 어린 나는 압도적인 경험 앞에서 아무것도 생각할 수 없었다. 캄캄한 밤길을 헤매듯 헤짚으며 걸을 뿐이었다. 열네 살의 일도, 열아홉 살의 일도 그러했다. 그러나 그럴 땐 가로등을 켜면 되는 것이었다. 아무것도 할 수 없을 때 길을 비춰볼 수 있는 불빛. 내게도 가로등이 있다는 사실을 나는 아주 나중에서야 깨달았다. 내게 가로등이 있다는 사실..